#230112 #무럭무럭음악산업 #新보이그룹
- 글로벌 실물 음반 시장이 ‘음반의 굿즈화’에 힘입어 20년 만에 반등 성공, ‘굿즈화’는 MZ 세대가 음악 경험을 실제로 소유하려는 욕구에 의한 현상
- 특히 음반 판매량 중 21세기 활동한 아티스트들의 비중이 50%를 넘었으며, 2020년 이후 데뷔한 아티스트들의 MD 비중에서 바이닐은 60%를 넘어
- 글로벌 1·3·5위 음반 시장인 미국·영국·프랑스의 음반 매출 성장률은 두 자리수를 기록했으며, 이는 K팝의 성장과도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평가
|
|
|
글로벌 차트 역주행의 주인공 Fujii Kaze ! 꾸미지 않은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때로는 엉뚱하게😜 때로는 특별하게💎 팬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그의 음악을 소개합니다. 누군가가 딱 좋은 기분으로 인생을 살아가게 하기 위해 음악을 한다는 후지이 카제, 함께 들어보시겠어요?🎧
|
|
|
백문불여일견! 후지이 카제가 누군지 모른다면 지금 당장 이 영상을 클릭하세요! (안 보면 정말 후회할 거예요🙏) 역주행 신화의 시작점이 된
Shinunoga E-Wa 라이브 영상은 그의 매력을 단번에 보여줍니다 . 키즈 유튜버로 시작해 다양한 커버곡들을 보여주던 그가 이제는 아티스트로 거듭나 혜성보다 빠르게 성장하고 있어요.🔥
|
|
|
어릴 적부터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접한 덕분에, 여러 가지 음악 스킬을 자유자재로 소화하고 커버곡 조차도 자신의 곡처럼 만들어 버려요. '언제나 도우며, 절대 상처 입히지 않겠다'는 뜻을 가진 앨범 [ HELP EVER HURT NEVER ] 을 통해 그의 🖤매.력.집.약.체.🖤를 만나보세요! |
|
|
🎧조금 오글거려도 어때,,, 이 노래를 듣는 순간 우린 청춘 드라마 주인공 그 잡채...⭐ |
|
|
f(x) - Goodbye Summer (Feat. D.O.) |
|
|
어쿠스틱 사운드, 담담한 목소리, 진솔한 노랫말과 함께하는 포근한 하루 ☁️ |
|
|
어쿠스틱발라드 With You - 정예원(YEWON) 12월의 봄(Prod. 샘김 Sam Kim) - 윤후 new light - 니브(NIve) 투정부리고 싶은데 - 공기남, 고닥 오늘 밤은 어쩌죠 - OLIVER (올리버)
|
|
|
When a Man Loves a Woman ❤️ 변함없는 실력과 미모 +화려한 게스트 라인업까지😎! 9년 만의 내한 공연 ✨ |
|
|
▶ 날짜 23.01.14(토) ~ 23.01.15(일)
▶ 장소 고척스카이돔
|
|
|
가장 완벽하고 짜릿한 2023년의 시작을 원하는 당신 ⭐ 비주얼밴드의 소란한 겨울 콘서트에 초대해요 💖
|
|
|
소란 winter concert ‘STARTLINE!’
▶ 날짜 23.01.13(금) ~ 23.01.15(일)
▶ 장소 YES24 LIVE HALL
|
|
|
지난달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2022 음악 이용자 실태조사 보고서를 공개했습니다 📝
작년 한 해 우리나라 음악은 과연 얼마나, 어떻게 이용됐을까요?
가장 중요한 핵심만 간추려서 알려드립니다 🧐
|
|
|
2022 음악 이용자 실태 보고서 다운로드 👉 바로가기 |
|
|
📌 개인화&큐레이션 서비스 이용률이 증가했어요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경험자들이 주로 이용하는 음악 감상 방법은
'그때그때 듣고 싶은 곡이나 앨범을 직접 검색하여 감상'한다는 비율이 가장 높았는데요
하지만 해당 항목 응답률은 지난 3년간 감소 추세인 반면,
‘서비스가 제안하는 테마·내 취향 맞춤형 등 선곡 리스트 감상’,
‘스타 DJ/일반 이용자 DJ 등의 플레이리스트 감상’을 한다는 응답 비율은 전년 대비 증가했어요
|
|
|
📌 음악 스트리밍/다운로드 서비스 경험자는 유튜브뮤직을 가장 많이 이용했어요
다만 '주로' 이용하는 서비스를 다시금 응답하게 한 결과 '멜론'이 32.8%로 가장 높았는데요,
2020년 이후 '멜론' 응답률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해요
음악 서비스 경험자들이 유튜브뮤직을 사용하는 이유는 1. 무료여서 2. 원하는 음악이 많아서
3. 프리미엄 서비스를 가입하면 별도 비용 없이 이용할 수 있어서 등이 있었어요
|
|
|
📌 영상 플랫폼을 통한 음악 감상 비율이 점점 늘어나고 있어요
다양한 영상 플랫폼이 늘어나면서 음악과 영상 콘텐츠를 함께 보는 이용자가 늘어나는 추세에요
이는 유튜브 프리미엄 서비스를 통해 뮤직비디오, 음원 리믹스 버전, 음원 실황 버전 등
다양한 음악 관련 콘텐츠를 영상과 함께 즐길 수 있게 된 영향이 컸어요
특히 영상 플랫폼 중에서도 숏폼 영상 플랫폼인 틱톡, 인스타그램/페이스북 릴스, 유튜브 쇼츠 등 인플루언서나 챌린지를 통해 입소문을 탄 음악이 음원 차트 순위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어요
|
|
|
📌 피지컬 음반 구매에서 팬덤의 영향이 늘어나고 있어요
피지컬 음반 구매 경험은 지난 3년간 증가 추세로 팬덤 활동과 연관성이 큰데요
코로나19 기간에 좋아하는 아티스트와 직접 대면할 수 있는 기회가 감소하다 보니
팬덤 활동에서 피지컬 음반을 구매하는 비중이 증가하고, 기획사 입장에서도 팬들의 구매력을
올리는 방법의 하나로 피지컬 음반 발매를 활용했다는 전문가의 의견이 있었다고 해요.
특히 피지컬 음반 구매 경험은 10대와 60대에서 높게 나타났는데,
60대의 경우 트로트 팬덤을 중심으로 피지컬 음반 구매 증가에 큰 영향을 끼쳤다고 하네요
|
|
|
📌 메타버스 및 NFT 음악 서비스 이용 의향은 아직 낮아요
FGI를 통해 집계된 메타버스 및 NFT 음악 서비스에 대한 연령대별 의견은 매우 다양했는데요
종합하자면 메타버스 및 NFT 음악을 실제로 경험한 경우에는 긍정적인 의견도 있었지만
대체로 이용 의향이 낮다는 의견이 주를 이루었어요
|
|
|
<메타버스>
"실제 인물이 아니라서 별로일 것 같아요. 공연은 현장감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실제로 현장에서 공연을 보는 문화가 더 좋아요."
"이용하기 전에는 무슨 재미가 있을까 생각했는데 막상 캐릭터 가지고 들어가서 보니까
뮤지션과 소통이 자유롭고, 다른 현장감이 있고 음질 보정도 되어서 생각보다 나쁘지 않았어요.
아예 없던 유형이다 보니 생각보다 재밌을 것 같아요."
|
|
|
<NFT>
“NFT 포토카드를 구매했었는데 아무리 정품 인증을 하더라도 사람들이 사진을 캡처해서
그냥 공유 하더라고요. 내가 돈 주고 산 것이 이렇게 온라인상에 돌아다닌다고 하면
더 구매하거나 소비할 의향이 안 생길 것 같아요.”
“NFT가 개인 소유권을 보장하기 힘들어요. 실물 자산이 아니고
온라인에서 실체가 없는 무언가이다 보니 구매하지 않을 것 같아요.”
|
|
|
이외에도 보다 상세한 2022년도 음악 이용 현황이 궁금하시다면
한국콘텐츠진흥원 홈페이지에서 보고서를 다운로드 받아 확인해보세요! 😉
2022 음악 이용자 실태 보고서 다운로드 👉 바로가기 |
|
|
🎧 이번주 누시크는 어떠셨나요? 아래 버튼을 눌러 피드백을 보내주세요 👇
🎧 따뜻한 칭찬은 저희를 춤추게 해요 🐳
🎧 부족하거나 개선이 필요한 부분도 아낌없이 말해주세요 🔎 |
|
|
|